본문 바로가기

IT/Camera & AV

스마트TV와의 첫만남, 새로움

이미 모바일 라이프 패턴을 송두리째 바꿔버린 '스마트폰'... 그 바통을 이어받을 주자로 많은 분들이 주목하고 있는 것이 바로 '스마트 TV' 이기에 2011년 한해 중점을 두고 바라보고 있고 또 개인적으로도 직접 체험해보면서 느껴보고자 하는 것이 바로 거실 TV 문화의 변화입니다. 수십년동안 컬러와 화면 크기, 화질 정도의 변화 외에는 큰 역할의 변화가 없었던 것이 바로 TV였죠. '브라운관' 이라는 말 자체에서 느껴지는 것이 그저 '뷰어'에 불과하다는 것. 방송국에서 송출하는 전파를 받아 그저 인식이 가능한 화면으로 보여주기만 하는, 단방향성 뷰어라는 면에서 '바보상자'라는 오명까지 뒤집어쓴 녀석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가 뭐래도 거실문화의 '주역'으로 수십년간 자리를 지킨 것은 커다란 '뷰어'로서의 역할만 해도 그 역할에 도전하는 그 어떤 경쟁재도 없었고 그 외의 기능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그리 크지 않아서일 것입니다. 하지만 변하고 있죠. 미디어를 접하는 채널로서 각 개개인들은 TV뿐만 아니라 PC, 그리고 최근 스마트폰과 패드류까지 다양한 기기들을 TV 대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저 가지고 있는 것은 채널 선택권밖에는 없는 TV와 달리 훨씬 인터랙티브한 선택권이 많은 그런 기기들을 통해 좀더 효율적인 미디어 소비를 하기 시작했죠. 그러면서 점차 TV에 할애했던 시간들을 그런 다양한 기기들이 조금씩 대신하기 시작했습니다.

TV도 변해야 할 때가 왔죠.
마침 스마트폰이 폭발하면서 다양한 컨텐츠 소비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해줄 TV 운영체제 및 플랫폼들도 쏟아져나오기 시작했습니다. TV도 더이상 단방향 바보상자가 아니라 보다 많은 것들을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TV로 진화하기 시작한 것이죠. 그저 자만한 채로 뒷짐지고 있다보면 사용자들로부터의 시간 점유율을 지속적으로 뺏겨서 가장 큰 무기인 '매체력'을 상실해버릴수도 있으니까요




그렇게 변화의 중심이 되고 있는 이 '거실 마님'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앞으로 겪을 그런 변화를 지켜볼 것입니다. 블로그에서도 스마트TV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다룰 예정인데요, 그동안 매체를 통해, 혹은 여기저기 매장에서 잠시 만져보는 것이 스마트TV 체험의 전부였는데 마침 직접 이 녀석을 저희집 거실에 놓고 체험해볼수 있는 좋은 기회가 생겼습니다. 비록 잠시 대여일 뿐이지만 간접적으로 접하는 것보다 직접 사용해보면서 스마트TV의 역할과 과제를 진단해 보는 기회도 되고 해서 상당히 반갑게 포장을 풀었네요 ^^

앞으로 스마트TV에 대한 이야기를 종종 들려드릴 것을 약속드리며 오늘은 스마트TV를 직접 만난 소감을 전해드리겠습니다. 제가 체험해게 된 모델은 LG LW95 라는 모델로 Full LED 에 3D TV 기능까지 갖춘 스마트 TV입니다. 최근 TV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스펙은 모두 갖춘 놈이네요 ^^ 제가 현재 가지고 있는 LCD TV를 구매한지도 그리 오래되지 않았는데 그사이 상당히 얇아졌구나 라는 생각이 포장을 풀면서 든 첫느낌이었습니다. 
 


얇은 베젤과 함께 상당히 경쾌한 느낌으로 다가온 이녀석...
역시나 그 3가지 특징을 대표적인 세일즈 포인트로 내세우고 있네요

그저 안테나선만 연결하고 나면 별달리 할 게 없는 기존의 TV... 채널도 자동채널스캔 한번만 누르면 모든게 셋팅되고 그때부터 그저 '뷰어'로서 보기만 하면 되는 TV와 달리 스마트TV 는 본인의 활용 여부에 따라 설정해줘야 하는 것들이 초기에 꽤 있다는 것에서부터 느낌이 많이 달랐습니다. 

우선 네트웍 설정 이란 것이 있죠. TV에서 유선랜 혹은 무선랜을 설정해야 하는 부분... 처음 사용해본 저로서는 상당히 생경한 느낌이었습니다. TV 뒷쪽에 랜선을 꼽는 느낌은 마치 이녀석한테 절대반지를 끼워주는 듯한 느낌? 넌 이제 많은 것을 할수 있어! 라고 속삭이듯 지금까지 TV와는 다른 녀석을 상대하고 있다는 걸 대표적으로 느끼게 하는 순간이었죠. 물론 그런 랜선을 꼽지 않아도 무선랜 기능이 들어가 있어서 무선으로 집에 있는 공유기에 접속이 됩니다. 노트북에서 무선랜을 검색해서 연결하는 절차와 동일합니다. 자동으로 주변 무선랜을 검색하고 그중 선택해서 비밀번호가 필요한 경우 리모콘으로 입력하면 끝...

그렇게 절대반지를 끼워주고 나면 그동안 기존 TV에서 볼수 없었던 많은 세계들이 생깁니다. 메뉴 중에 가장 눈에 띄었던 것이 페이스북과 트위터였기에 그것부터 실행해봤습니다.




TV에서 Facebook 사용을 하고자 선택을 하니 실제 Facebook 사이트에서 권한 승인을 해줘야 하네요. 

TV에서 수행하는 어떤 행위때문에 노트북을 켜서 그것과 연동해주는 이런 행위도 그간 경험하지 못했던 것이죠. TV 조작을 하다가 그것때문에 노트북을 켜서 네트웍에 접속했습니다. 




47인치 TV에서 보는 TV판 Facebook 의 모습입니다 ^^





그리고 트위터...




이런 SNS들도 단순히 보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글 작성이 TV에서 바로 가능하죠.

LG 스마트TV에는 페이스북과 트위터가 이렇게 TV용 어플리케이션으로 들어가 있습니다. 물론 리모콘의 제약으로 PC에서 사용하는 것처럼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단편적으로 이런 서비스를 경험하는 것만으로도 TV 의 역할이 그동안과는 많이 바뀔 것이라는 생각을 갖기에는 충분했죠. 
 
네트웍에 접속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이 있다는 것.

그것은 모양만 TV형태이지 TV가 아니라 대형 스마트기기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스마트폰이나 랩탑 등과 개념적으로 다를게 없어진 것이죠. 

난 그런놈이야 라는 걸 보여주는 또하나의 대표적인 UI 가 [HOME] 버튼이었죠. 기존 TV에서는 그저 채널만 표현하면 되었기 때문에 '홈'이라는 것 자체가 없었는데요. 리모콘에 있는 '홈'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모습이 나타납니다.




현재 TV 채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저 좌상단의 모습. 전체 홈 화면에서 3분의 1 정도를 차지하는 저 화면이 마치 단순 TV는 내가 할 수 있는 것중 1/3 일뿐이야 라고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듯 하네요.

TV 외에 다양한 인터넷 미디어들, 그리고 게임이나 유틸리티들이 있는 TV용 어플리케이션들이 홈화면에 함께 표현되고 있습니다. 이것이 홈이라는 이야기는 곧 TV채널 외의 서비스들이 더이상 '부가'서비스의 위치가 아닐 것이라는 점도 내포하고 있는 것이죠. 




가족들과 함께 즐기는 것들이 공중파나 케이블 채널만 있는 것이 이제 아니었습니다. 유투브 등을 통해 요즘 뜨는 재밌는 동영상들을 바로 감상할 수도 있고 뉴스, SNS, 지도 등도 PC없이 바로 리모콘을 통해 즐길 수 있게 된 것이죠. 딸아이도 바로 이야기 하는 것이, '여기서 인터넷도 돼?' 라고 하네요 ^^ 웹브라우저가 준비되면 훨씬 더 많은 일들을 할수 있을 것입니다. (현재는 준비중)




기본적인 리모콘 외에 추가적으로 지급되는 이 스마트 리모콘. '마우스' 역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녀석을 통해 TV 화면에서 마우스 아이콘을 조작하는 것이죠. 이녀석 역시 스마트TV 에서 앞으로 할수 있는 것들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재는 TV 자체가 터치스크린은 안되기때문에 이녀석이 그 역할을 대신 하고 있는데요 게임 등에 필요한 인터랙션을 처리하기에 그 활용성이 앞으로 무한히 확대될 수 있는 녀석이죠

스마트TV가 처음 제 거실에 들어온 날, 대표적으로 난 다른 TV와는 달라 라고 느끼게 해주는 것들을 소개해봤습니다. 앞으로 이 스마트TV가 제 거실 생활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저를 포함한 가족들은 이녀석을 어떤 방식으로 소화하는지를 보면서 스마트TV의 앞날에 대해 좀더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이제 막 시작된 시장인만큼 사용자 경험에 있어 시행착오도 많이 겪겠지만 PC나 태블릿, 스마트폰을 통해 레퍼런스가 있기때문에 TV제조사에서도 그런 부족한 부분들은 상당히 빠른 속도로 해결해 나갈 것으로 기대합니다.

아, 한가지 중요한 것을 빼먹었네요.
며칠 전에 TV 와 연결된 네트웍을 통해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더군요. 펌웨어 업그레이드 이후 개선되는 기능과 TV화면들...

이것만으로도 상당한 의미가 있죠? ^^




LG 스마트TV에서는 아마 3D 기능을 표현하는 차원에서 이런 모양의 전원 표시 아이콘을 디자인한 것으로 보이는데요. 제 눈에는 조금 다르게 보이기도 하더군요. 이 큐브 박스처럼, 판도라 box 와 같은 존재로 진화가 기대되는 스마트 TV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이 아닐까요?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