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TV UX 어떻게 진화해야 하나 (1) : TV에 시도되던 경험들(Experiences)과 실패 수년간 TV에 시도되었던 스마트 UX들의 시도는 그다지 결실이 없었다. 미디어 소비에 있어서는 누가 뭐래도 중심이었던 TV가 소비 시간으로 보면 그 지분을 스마트폰이나 노트북/태블릿 같은 개인화 기기들에 많이 내주고 있다. 많은 기기들이 스마트화의 길을 걷고 있는 상황에서 TV는 상대적으로 그 속도에 못미치고 있는데 그 결과 미디어 소비의 중심에서 조금씩 벗어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그런 시도들은 왜 실패로 귀결되었을까? 스마트폰들의 진화와는 다른 TV만의 독특한 특성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 그 이유와 TV만의 컨텍스트를 다시금 뜯어 보고 이해할 수 있다면 우리는 스마트 TV가 제공해야 할 경험에 대해 올바른 방향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V가 가진 특징과, 그로 인해 TV가 주목해야.. 더보기
미세먼지 많은 봄, 프리미엄 마스크 에어리넘 (Airinum) 과 함께 이번 주말에 봄 날씨처럼 풀린다고 해서 싸이클링을 열심히 준비했는데뉴스에서 미세먼지 아주 나쁨이라고 경고하네요 ㅠㅠ 그런 날이 많아져서 기분이 안좋아요어릴 때는 그런 거 모르고 자랐는데 말입니다.마음껏 뛰어놀아야 할 아이들도 그러질 못하니... 그런 먼지 많은 봄 날, 앞으로 더더욱 더 심해질 거 같은데요그래서인지 이제 마스크가 필수품이 된 거 같아요 몇년 전 일본에 갔을 때 사람들이 대부분 마스크를 하고 다니는 모습이 좀 어색했는데이제 우리나라도 그런 환경으로 들어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스웨덴에서 온 프리미엄 마스크를 하나 소개시켜 드리려구요에어리넘 (Airinum) 이라는 브랜드의 마스크에요 처음에 사진만 보면 마치 방독면을 연상케 하는데요 ^^ 워낙 요즘 공기의 질이 안좋다보니 단순히 막는 마스크.. 더보기
VR(가상현실)이 가져다 줄 미래 유망 분야 2018/03/02 - VR(가상현실)이 주는 사용자 경험 가치는 무엇인가 앞선 포스팅에서는 VR(가상현실)이 실제로 사용자에게 주는 경험가치(experience value)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번에는 결국 그 VR로 인한 변화, VR이 가져다 줄 미래 유망 분야에 대해 그러한 경험 가치 입장에서 서술해 보기로 한다. VR의 경험 가치에 따른 유망 분야 1. 제약 극복 가치 측면의 유망분야 시/공간적 제약 및 신체/환경적 제약을 극복하는 VR 경험으로 인해 아래와 같은 분야들이 각광받을 것이다 [컨텐츠와 서비스 분야] l VR 여행 컨텐츠 : VR 기기를 통해 세계 어느 곳이든, 심지어 영화 MARS에서 등장하는 화성 체험도 할 수 있을 것이다. VR 여행사 사이트가 등장해서 많은 유료 상품과 심지어.. 더보기
VR(가상현실)이 주는 사용자 경험 가치는 무엇인가 2016년을 여는 ICT업계의 가장 큰 화두는 VR(가상현실)일 것이다. 모바일 기기와 통신 기술이 가장 각광을 받아야 할 MWC 2016에서조차 VR은 주인공 자리를 당당히 차지해버린 모양새다.2020년까지 수백조에 달할 것이라는 세계 유수기관들의 달콤한 시장전망이나 앞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하리라는 VR HMD의 판매량 예측을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제 좀 쓸만해진 VR 기기들이 금년에 대거 출시되는 것을 보면 정말 VR 대중화의 원년이 되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단순히 기술이 뛰어나다고 해서, ‘와우!’하고 외치는 그런 놀라운 순간이 있다고 해서 지속적인 대중화로 꼭 이어지지는 않는다. 3D 디스플레이가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대중화에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이듯 정말 ‘의미있는 경험 가치’를 제공하지.. 더보기
스마트 스피커 (인공지능 스피커) 에서 주안점을 둘 포인트들 왜 네이버/카카오는 AI스피커를 뿌려대는가 (1) 사업전략적 측면왜 네이버/카카오는 AI스피커를 뿌려대는가 (2) UX적 측면 위 글들에서 이어지는 마지막 글입니다. 스마트 스피커 (인공지능 스피커) 에서 주안점을 둬야 할 포인트들 사업전략적인 이유로, 그리고 AI 스피커만의 경험적 특성으로 인해 서둘러 시장에 뿌리려고 하는 이유들을 살펴보았다. 그 외에도 이유들은 더 있겠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현재의 기기가 지속 가능한 가치들을 제공해야 그런 이유들이 의미가 있어진다. 지속 가능한 가치들을 제공하지 못하면 막대한 비용을 감수하면서 뿌렸지만 결국 외면되어 버릴 수도 있다. 가장 최악의 시나리오는 지금 정도 수준에 머무르며 이러다 마는 모양새이다. 몇 년 전 3D TV가 그러했듯이 한참 열풍처럼 기술 경쟁.. 더보기
왜 네이버/카카오는 AI스피커를 뿌려대는가 (2) UX적 측면 전편에서 이어지는 글 >>왜 네이버/카카오는 AI스피커를 뿌려대는가 (1) 사업전략적 측면 AI 스피커에서 주목해야 하는 사용자경험(UX)적 특성 음성으로 대화를 통해 풀어가는 디지털 기기는 인류에게 꽤 익숙할 만도 하지만 반면 오늘날 손가락 하나로 거의 모든 걸 할 수 있는 세상이기에 생소한 부분도 있다. 다른 스마트 기기들과는 뚜렷하게 다른 이 AI 스피커와의 경험이 이를 더 특별하게 만든다.자연어를 알아 듣고 사용자를 학습해서 또 자연어로 정보를 주는 AI 스피커만의 경험, 그런 특성들 때문에 더더욱 네이버와 카카오가 서둘러 이렇게 시장에 뿌려 대는 이유가 있는데 그것이 어떤 것들인지 짚어 본다. Direct Path UX로 인한 손쉬운 제어라는 특성 ‘아이유의 밤편지 틀어줘’ 현존하는 음성인식 스.. 더보기
왜 네이버/카카오는 AI스피커를 뿌려대는가 (1) 사업전략적 측면 2014년 아마존 에코(echo)에서 시작된 음성인식 스피커 열풍이 국내에도 크게 일고 있다. KT와 SKT는 이미 ‘기가지니’와 ‘누구’를 통해 음성인식 비서 기기 시장을 가져가기 위한 경쟁을 시작했고, 이젠 국내 포털 기업을 비롯해 스마트 기기 제조사들도 자사 플랫폼 혹은 스마트폰 생태계 및 인공지능 플랫폼을 가진 기업들과 제휴를 통해 앞다퉈 AI 스피커를 내놓고 있다. 얼마 전 네이버와 카카오에서 이 AI 스피커를 거의 기기값 부담이 없는 조건으로 시장에 내놓고 있다. 자사 계열의 음악 서비스를 가입하는 비용만 내면 거의 추가비용 없이 음성인식이 되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손에 넣을 수 있는 조건으로 쉽게 말해 시장에 뿌려대고 있는 수준이다. 귀여운 캐릭터로 무장한 인공지능 스피커들의 이야기가 연일 페.. 더보기
제로레이팅(zero-rating)을 둘러싼 쟁점, 미래 서비스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통신업계에 뜨거운 감자로 다시 떠오른 제로레이팅 이슈를 바라봐야 하는 뷰포인트에 대해 글을 써 봅니다.----------------------------------- 국내뿐 아니라 유럽 미국에서도 통신사업자 및 인터넷 서비스/플랫폼 사업자들을 중심으로 zero-rating (제로 레이팅) 이슈가 다시 쟁점이 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주재로 지난 4월 제 11차 ICT 정책 해우소에서 망중립성에 대한 논의를 하면서 이 제로 레이팅 의제 또한 논의되었다. 사용자와 통신사업자, 서비스/플랫폼 사업자와 공공기관에 이르기까지 이해관계자들의 얽힌 이슈가 있고 사업자들의 규모에 따른 찬반 대립 또한 뚜렷해서 쉽게 결론이 내려지긴 어렵다. 해외에서도 이 이슈에 대해 '망중립성'이라는 기준 잣대에 의거해서 제로 레이팅.. 더보기